"화이자·모더나 이외 백신, 오미크론 감염 예방 효과 미미" <br />"시노팜·시노백 등 오미크론 감염 예방 효과 없어" <br />"AZ백신 접종 6개월 지나면 오미크론 감염 못 막아" <br />"스푸티니크 백신도 오미크론 방어력 매우 낮을 것" <br />"얀센 백신도 오미크론 감염 예방 효과 거의 없어" <br />"일부 항체 치료제,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 크게 떨어져"<br /><br />미국 뉴욕타임스는 현지시각 19일 mRNA 계열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제외한 다른 백신의 경우 오미크론 감염자가 중증으로 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는 있지만, 감염 자체를 막지 못한다는 예비 연구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노팜과 시노백 등 중국산 백신의 경우 오미크론 변이의 감염을 막는 효과는 제로(0)에 가깝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백신은 중국을 비롯해 멕시코와 브라질 등 중저소득 국가에서 널리 사용됐으며, 전 세계 백신 물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접종 6개월이 지나면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전혀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인도에서는 90%가 이 백신을 맞았고, 세계 백신공급 프로그램인 코백스를 통해 아프리카에 6천7백만 회분이 보급됐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스푸티니크 백신 또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방어력이 매우 낮을 것으로 연구자들은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회 접종 방식으로 아프리카에서 수요가 급증한 얀센 백신 역시 오미크론 감염을 막을 능력이 거의 없다고 할 정도로 예방 효과가 미미했습니다. <br /> <br />mRNA 신기술이 적용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만이 모든 변이에 일관된 감염 예방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현재 사용 중인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일부가 오미크론 변이에는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가 리제네론과 릴리 등 인공 항체의 효능을 무력화시켰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제약사들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할 새 항체 치료제 개발에 즉각 착수했지만, 생산까지 수 개월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22100101269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